오늘은 web의 기본html과 css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전에 지난 시간 내용에 대한 보충 설명 및 vscode & repository setup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 들어가기에 앞서...

0️⃣ default branch : Master ⁉️ Main ‼️

Github은 만들어진 이후로 지금까지 레포지토리를 생성하면, default branchmaster를 사용해 왔습니다. 하지만 2020년에 default branch의 이름이 Main으로 바뀌었습니다.

지난주차 레포지토리는 master가 default branch로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9기분들께서 새로 개인 레포지토리를 생성했을 때, default branch가 main으로 설정되어 당황하셨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master 브랜치와 main 브랜치 모두 같은 기능을 한다고 이해해 주시면 됩니다 ㅎㅎ

오늘 진행하는 세미나에서도 master / main이 혼재되어 있으니 명령어를 입력할 때 주의해 주세요!!!

1️⃣ 과제 중 두 번째 방법 정답!!

  1. 지역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하여

지역 저장소의 작업 내용을 원격 저장소에 반영하여 pull request 보내기

# fork한 깃헙 주소 clone
git clone <https://github.com/**본인아이디/**html-css.git>
****# 레포지토리로 이동
cd html-css
# 본인 브랜치로 이동
git checkout **본인이름**

# **코드 수정 후, add + commit** 
# remote(원격저장소)에 push
git ****push origin **본인이름**

앞으로 모든 과제들은 fork한 본인 레포지토리브랜치에서 작업하고 snulion9th 레포지토리 "본인이름" 브랜치Pull Request를 보내고, Review → Approve → Merge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각자 자신의 PR을 직접 Merge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Merge 방법은 3가지가 있는데, 일단 기본 Merge 방법을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